####좋은자료####/역사자료

대한민국 1호 화폐

리마즈로 2017. 8. 14. 09:47


대한민국 1호지폐

일본 대장성 인쇄국에서 찍어낸

1000()짜리<사진 위>, 100원짜리<사진 아래>


대한민국 1호 지폐는 6·25 전쟁 와중에 세상의 빛을 봤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법정 화폐인 한국은행권을 발행하는

한국은행은 1950612일 설립됐다.

하지만 지폐를 발행해 보지도 못한 채 창립 13일 만에

6·25 전쟁을 맞았다.

그 당시 우리나라 시중에서는 일제시대에 중앙은행 역할을 했던

조선은행이 발행한 조선은행권 지폐가 유통되고 있었다.


전시(戰時)에 필요한 현금을 조달하기 위해

한은은 629일 급하게 도쿄 지점을 통해 일본 정부에

"한국은행권 지폐를 인쇄해 달라"는 요청을 하게 된다.

당시 일본을 점령하고 있던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도움으로

열흘 만에 일본 대장성 인쇄국에서

1000()짜리 152억원,

100원짜리 23000만원어치를 찍어

미 군용기 편으로 김해공항으로 운송했다.

급박한 상황 탓에 1000원권 앞면의 도안에는

주일 대표부에 걸려 있던 이승만 대통령 초상화를 이용했으며,

100원권 앞면에는 주일 대표부가 소장한 책자에서 골라낸

광화문 사진을 사용했다.


새 한국은행권은 다시 김해에서 대구로 옮겨져

722일 최초로 발행해 유통됐다.

전시(戰時)라 한은은 최고 의결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

소집도 못하고 총재가 직권으로 화폐 발행을 공고하기도 했다.

1000원권과 100원권 외에 부족한 지폐는

기존 조선은행권(100, 10, 5, 1원 등)

섞어 쓰도록 했다.


하지만 북한군이

조선은행권 100원권을 불법 인쇄해 유통시키자,

한은은 조선은행권 100원의 유통을 금지시키고

19509~195315차례에 걸쳐 한국은행권으로

교환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발행된 한국은행권은

전쟁으로 생산이 위축되고 군사비 지출이 늘어

물가가 급등하면서 가치를 잃어가게 된다.

1945~1952년 국내 물가는 400배 이상 급등했다.

이에 정부는 19532월 화폐가치를 100분의 1로 낮추고

새로운 화폐단위인 ''을 도입하는 화폐 개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최초의 ''표시 한국은행권은 ''표시 한국은행권에

바통을 넘겨주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